관심사

자폐성 장애 용어와 원인

ㄱ~ㅎ 2025. 4. 12. 18:04

자 폐 성 장 애

 
 
자폐증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이해, 감각, 지각 능력 장애)

관련된 질병들 (전반적 발달장애 /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을 통칭하는 용어. 
 
자폐스펙트럼 보다 넓은 범위.
 

1 ..  캐너  증후군

저기능 자폐
 
→ (지적장애 동반, 아이큐 70이하, 조현병(망상, 환각, 일관성부족, 소통불가) 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수 있음, 좁은의미의 자폐증.

 

2 ..  아스퍼커  증후군

 
고기능 자폐
 
→  (경계선지능 아이큐 80이상) 
 
언어적인 측면을 기반으로 사회성이 현저히 손상된 부분이 존재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통상적으로,,
 
♠ 동작성 지능 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경우인데
언어이해 측면에서 선천적으로 손상된 부분이 있음.  
 
♠ 동작성 지능 : 신체수행능력, 즉 일머리
(지능의 한 종류)
 
♠ 마스킹 : 스스로의 정신적 결함을 감추고
'정상인' 으로 위장하여 살아가는 기술.
 
이러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정신질환자 스스로가 정신이상을 보이면서 튀는 행동을 하다가
사회적인 배척과 혐오,
 
각종 불이익이 따르기에 그걸 인지하고 스스로를 위장하기 위함.
 
♠ 멜트다운 :  ADHD나 자폐 스펙트럼 같은
발달장애의 충동적인 감정 폭주 상태를 의미.
 
전조 증세로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손톱을 물거나 다리를 떨거나 하는 등 반복, 강박적 행동,
괴성 혹은 자/ 타해행위를 함.
 
쉽게 말하자면 급발진을 수시로 저지를 정도로
뇌의 충동 조절 기능이 극도로 결여된 상태.
 
ADHD 환자나 자폐 스펙트럼일 시에는 번쩍이는 빛이나 시끄러운 소리,

맛, 질감이 트리거가 되는
감각과부하(감각이 지나치게 발달) 로 인해 촉발.
 
정상적인 사회 활동을 하는 고기능자폐증 이 있는 사람도

지속적인 마스킹 으로 쌓인 스트레스 혹은 사회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의 축적으로 나타남.
 
 
♣ 아스퍼거 증후군과 고기능 자폐의 미세한 차이 :

아스퍼거에서 언어적 지능이,
고기능자폐에서 동작성 지능이 높게 나타남.
 
 

자 폐 증 의 원 인

 
 
유전적, 뇌구조의 이상, 전두엽 발달저하와 
신경전달물질 이상이 원인으로 지목.
 
 
자폐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미세아교세포의 ‘신경망 가지치기’ 이다 .
 
미세아교세포는 신경망 가지치기를 통해 과도하게 연결된 신경망을 제거하는데,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이 낮으면 과도하게 연결된
신경망이 제거되지 않아 과도한 신경망 연결이 그대로 남게 된다.  

(따라서 생각이 깔끔하지 못함.)
 
실제로 연구결과에서 자폐증 장애인에게서
미세아교세포 관련 유전자 발현에 차이가 있다는 것

과 임산부의 태아에서
테스토스테론 (남성호르몬)
 
농도가 너무 높으면 미세아교세포 활성이 달라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네이버 나무위키 참조.
 
 
 
 

잎의 무늬가 특이하면서 ….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성 장애 이야기 (ft. 피붙이)  (41) 2025.04.08
자폐에 대한 관심  (71) 2025.04.03
사상인들의 특징들  (48) 2025.03.30
음, 양과 트렌스젠더 (ft. 음양론)  (58) 2025.03.27
신경계, 신경을 쓰다. (음, 양 나옴)  (39) 2025.03.21